반응형
소금도 종류가 있다? 좋은 소금 고르는 법과 건강하게 먹는 팁
소금, 다 같은 소금이 아닙니다
많은 사람들이 소금은 그저 짠맛을 내는 조미료라고 생각하지만,
실제로는 정제 방식과 성분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달라집니다.
특히 정제 소금(일반 소금)과
천일염, 암염, 재래염, 히말라야 소금 등 천연 소금은
미네랄 함량과 가공 수준에서 차이가 큽니다.
좋은 소금이란?
정제 소금 | 99% 이상이 ‘염화나트륨’로 구성, 미네랄 거의 없음 |
천연 소금 | 자연 그대로 건조한 소금, 칼슘·마그네슘·칼륨 등 풍부 |
저염가공소금 | 나트륨을 줄이고 칼륨을 첨가한 소금 (특정 질환자용) |
좋은 소금 고르는 기준
1. 가공이 최소화된 소금
- ‘세척천일염’, ‘자연건조’, ‘무정제’ 등 문구 확인
- 이물질만 제거하고 미네랄은 그대로 보존된 소금이 가장 이상적
2. 색이 흰색이 아닌 경우도 OK
- 천일염이나 암염은 흰색이 아니어도 정상
→ 회색빛, 분홍빛은 자연 미네랄 색소 때문입니다
3. 원산지와 생산 방식 확인
- ‘국산 천일염’은 신안, 영광 등이 대표적
- 히말라야 핑크 솔트, 프랑스 게랑드 소금 등은 해외 천연 소금 중 인기 있음
4. 맛이 부드럽고 쓴맛이 적은 소금
- 좋은 소금은 짠맛 뒤에 감칠맛과 단맛이 남습니다
→ 미네랄이 많을수록 이런 특성이 강합니다
대표적인 좋은 소금 종류
국산 천일염 | 국내산, 자연 건조, 미네랄 풍부 |
히말라야 핑크솔트 | 칼슘·철·마그네슘 풍부, 요리·소금욕에 사용 |
프랑스 게랑드 소금 | 바닷물 자연 증발, 고급 셰프들이 애용 |
호주 머레이리버 소금 | 부드러운 결정, 순한 짠맛 |
재래염 | 전통 방식의 소금, 깊은 감칠맛 |
피해야 할 소금
정제염(백색 정제소금) | 고온 가공으로 미네랄 제거, 염화나트륨만 남음 |
화학적 첨가물 소금 | 착색, 항결제제 등 포함된 소금은 피할 것 |
맛소금(조미소금) | MSG, 설탕, 인공향료 등 추가된 경우 많음 |
건강하게 소금 먹는 팁
- 짠맛에 의존하지 말고 소량 사용
- 좋은 소금일수록 적은 양으로도 맛이 깊음
- 요리 마지막에 소금 넣기
- 조리 후 간을 맞추면 적은 양으로도 맛 조절 가능
- 운동, 여름철에는 적절한 염분 보충
- 천연 소금 한 꼬집을 물에 타서 마셔도 OK
정리
좋은 소금 | 천일염, 히말라야솔트, 재래염 등 미네랄 풍부한 소금 |
피해야 할 소금 | 정제소금, 화학첨가된 맛소금 |
고를 때 확인 | 무정제, 자연건조, 원산지, 색·맛·결정 형태 |
사용법 | 소량 사용, 조리 후 간, 필요 시 보충음료 활용 |
반응형
'건강 > 음식과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과식초(애사비) 고를 때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기준 (0) | 2025.05.31 |
---|---|
소금도 상할 수 있다! 소금 보관법과 유통기한 제대로 알기 (0) | 2025.05.31 |
건강하게 먹는 그래놀라 고르는 5가지 기준! 당 함정 피하는 법 (0) | 2025.05.30 |
식물성 유제품, 어떤 걸 먹어야 할까? (0) | 2025.05.30 |
장이 안 좋을 때 유제품 먹어도 될까? 피해야 할 제품과 대안 정리 (0) | 2025.05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