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강/음식과 건강

카제인 , 정말 몸에 안 좋을까? 진실을 파헤쳐보자!

by HYUN_1 2025. 7. 19.
반응형

카제인 , 정말 몸에 안 좋을까? 진실을 파헤쳐보자!

요즘 건강이나 다이어트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“카제인(casein)”이라는 단백질. 헬스 유튜버들이 “자기 전에 먹는 단백질”이라며 추천하기도 하고, 반대로 “카제인은 몸에 안좋다”는 주장도 있어 혼란스럽죠. 과연 카제인은 몸에 좋은 걸까, 아니면 피해야 할 성분일까?

이번 포스팅에서는 카제인이 어떤 성분인지, 어떤 효과가 있는지, 정말 몸에 해로운지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
 


카제인이란?

카제인은 우유 단백질의 약 80%를 차지하는 주요 단백질입니다. 나머지 20%는 우리가 익숙한 유청단백질(웨이프로틴)이죠.

카제인은 물에 잘 녹지 않고, 소화되는 속도가 느려서 위에서 천천히 흡수되는 성질이 있어요. 그래서 헬스인들 사이에서는 야간 단백질 보충용으로 자주 활용돼요. 자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아미노산을 공급해 주기 때문이죠.


카제인의 효능

  1. 근육 손실 방지에 효과적
    • 소화가 느리기 때문에 공복 시간이 긴 수면 중에도 근육 분해를 막는 데 도움이 돼요.
  2. 포만감 유지
    • 천천히 소화되다 보니 식사 대용, 다이어트용으로도 활용 가능해요. 한 끼를 제대로 못 챙길 때 요긴하죠.
  3. 뼈 건강에 도움
    • 카제인에는 칼슘이 풍부해요. 뼈 건강 유지에도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.

카제인이 몸에 안 좋다는 말, 사실일까?

1. 카제인이 암을 유발한다?

이 주장은 주로 2005년에 출간된 『The China Study』(중국의 식사 연구)에서 나왔어요. 이 책에서는 동물성 단백질(특히 카제인)이 암세포를 성장시키는 실험 결과를 언급했죠. 하지만 이는 극도로 높은 농도의 카제인을 실험 동물에게 투여한 경우이며, 일반적인 식단 수준과는 거리가 먼 수치였어요.

 

 즉, 일반적인 섭취 수준에서 카제인이 암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증거는 부족합니다.

2. 카제인 알레르기/불내증

우유 속 카제인에 대한 알레르기나 소화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있어요. 이 경우엔 유당불내증과는 다른 문제이며, 증상으로는 설사, 복통, 두드러기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.

→이런 분들은 카제인을 피하고 식물성 단백질이나 락토프리 제품을 선택하는 게 좋아요.


유청단백질 vs 카제인 단백질, 뭐가 다를까?

 

  유청단백질(웨이) 카제인
흡수 속도 빠름 (1~2시간 내) 느림 (6~8시간 지속)
섭취 타이밍 운동 직후 취침 전, 식사 사이
포만감 낮음 높음
용도 빠른 근육 회복 장시간 근육 유지
 

운동 직후에는 유청, 자는 전에는 카제인이 이상적인 조합입니다.


결론: 카제인은 무조건 피해야 할 성분이 아니다!

  • 알레르기가 없다면 적당한 섭취는 오히려 이점이 많아요.
  • 단백질 섭취원이 너무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, 다양한 식품을 통해 균형 있게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핵심!
  • 몸에 잘 맞는다면, 카제인은 다이어트와 근육 유지에 효과적인 보충제가 될 수 있습니다.
반응형